내일교육

뒤로

위클리 뉴스

1177호

이 주의 입시 용어 풀이 | 이용풀

공동 교육과정

정말 듣고 싶은 과목이 있는데 우리 학교에 개설되지 않아 속상하다면 공동 교육과정을 주목하세요. 다양한 과학 실험도 할 수 있고 심도 있는 예체능 수업도 들을 수 있답니다.

취재 황혜민 기자 hyemin@naeil.com
자료 서울시교육청





공동 교육과정은 단위 학교에서 개설이 어려운 소인수 과목 혹은 심화 과목을 학교 간 연계와 협력을 통해 운영합니다. 학생의 과목 선택권을 보장하기 위해 만들어졌고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에서 운영하는 교육과정이죠.

현재 다니고 있는 학교에 듣고 싶은 과목이 개설되지 않았거나, 과목이 개설됐지만 학생이 적어서 폐강됐다면 공동 교육과정을 활용해보세요. 수업은 정규 수업 시간이나 방과 후나 주말에 이뤄지고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나누어 진행합니다.


공유 캠퍼스는 운영학교 재학생만, 거점학교는 일반고 재학생 지원 가능

초·중등교육법과 고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등을 토대로 추진하기 때문에 기본 골격은 같지만 각 시·도교육청에 따라 세부 내용이 다르니 거주 지역의 교육청에 들어가서 확인하는 게 가장 정확합니다. 지면상 여기서는 서울을 중심으로 설명해드릴게요.

서울은 공동 교육과정을 공유 캠퍼스, 거점학교, 서울온라인학교로 운영합니다. 2015 개정 교육과정 기준으로(현 고2~3) 보통 교과(기초, 탐구, 체육·예술, 생활·교양 영역의 일반선택 및 진로선택 과목)와 전문 교과(전문 교과Ⅰ, 전문 교과Ⅱ의 기초 과목(실무 과목 편성 불가))를 운영합니다. 단, 거점학교는 기초 교과 영역은 개설하지 않습니다. 정규 교육과정이기에 교재비나 재료비가 필요 없으니 부담 제로!

공유 캠퍼스는 인근 학교를 한데 묶어 교육과정과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운영합니다. 예를 들어 강서·양천 지역의 영일고, 대일고, 강서고를 묶어서 공유 캠퍼스를 만들고 각 학교에서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거죠. 올해 1학기 기준으로 보면 강서고에서는 <건축일반>을, 대일고에서는 <세계문제와 미래사회>를, 영일고에서는 <프로그래밍>을 가르치네요. 만약 세 학교 중 한 곳에 다니는 고등학생이 건축학과 진학을 염두에 두고 있다면 강서고의 <건축일반>을 이수하면서 보다 심화된 공부를 할 수 있겠죠.

공유 캠퍼스는 이를 운영하는 학교의 재학생만 지원할 수 있지만, 거점학교는 서울의 모든 일반고 재학생에게 열려 있습니다. 제2외국어 영역은 직업계고 재학생도 지원할 수 있고요. 만약 위계가 있는 과목이라면 선이수 과목을 먼저 들은 후에 참가할 수 있고, 교육지원청 관내에 있는 거점학교에 우선 지원하는 게 원칙입니다. 학생이 소속된 학교의 교육과정에 편성된 과목은 신청할 수 없고요.


고1, 중도 포기 시 학생부에 ‘미이수’로 기재

서울온라인학교는 일과 시간 중에 진행되는 과목과 일과 시간 이후에 진행되는 과목으로 나뉩니다. 일과 시간에 개설되는 수업은 학교에서 온라인으로 실시간 수업을 듣는 반면, 일과 시간 이후 진행되는 수업은 주로 방과 후나 주말을 이용해서 실시간 온라인 수업을 듣게 됩니다. 아무래도 편안하게 집에서 수업을 듣게 되겠죠?

올해 1학기 서울온라인학교의 일과 시간 이후에 진행되는 과목으로는 <스포츠와 국제사회> <서울프로젝트> <데이터로 세상읽기> <생성형 AI와 메이커실습>이 있네요. <서울프로젝트>는 서울의 지역·문화·경제 특성을 이용해 창의적인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목이랍니다.

거점학교와 서울온라인학교의 일과 시간 이후 과목은 학기별로 운영되며 1학기 신청은 고 2~3학년만 가능합니다. 고1은 2학기부터 신청할 수 있습니다. 현재 고2~3의 1학기 신청은 마감됐고 거점학교에 관심 있는 고1이라면 지금부터 잘 고민한 후에 2학기 신청을 놓치지 마세요. 서울고교학점제온라인지원센터(https://seoulhsc.sen.go.kr)에서 7월에 신청할 수 있습니다. 현 고2~3학년 기준으로 정규 일과 시간 외에 개설된 과목은 공유 캠퍼스, 거점학교, 서울온라인학교를 합해 학기당 6학점까지 들을 수 있습니다.

성적은 교과별로 3단계 혹은 5단계로 성취도를 평가합니다. 상대평가가 아니기 때문에 성적 부담은 조금 덜 수 있죠. 수업 중간에 포기하면 현 고1은 학생부에 미이수로 기재되지만 고2~3은 학생부에 기재되지 않습니다.










[© (주)내일교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내일교육
  • 황혜민 기자 hyemin@naeil.com
  • 이 주의 입시 용어 풀이 [ 이용풀 ] (2025년 04월 02일 1177호)

댓글 0

댓글쓰기
250319 창비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