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고1부터 전면 적용되는 고교학점제에서는 내신 체계가 달라집니다. 성취평가제를 적용하면서 5등급 상대평가도 병기하죠. 종전 9등급 체계에 비하면 변별력이 약화돼 숫자의 힘이 다소 약화될 것으로 점쳐집니다. 한편 2028 수능 역시 출제 범위가 낮아져 영향력이 줄어들며 정시에서도 학생부 반영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게다가 얼마 전 정부의 ‘고교교육 기여대학 사업’에서 교육과정 연계 전형 운영 개선 분야의 자율공모사업에 채택되면 2028학년부터 정시 비중을 30%까지 낮춰준다는 교육부의 발표가 있었습니다. 줄어든 정시만큼 늘어날 수시, 특히 학생부종합전형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형국입니다. 사교육 일각에서는 학부모의 불안 심리를 자극하며 고교학점제 과목 선택 설계 컨설팅, 학생부 관리 노하우, 세특 주제 탐구 전략 등의 시장이 빠르게 커지고 있습니다. 달라진 교육과정과 바뀔 대입에서 경쟁력 있는 학생부는 무엇이며, 깊이 있는 학습을 위한 ‘탐구 역량’은 어떻게 키워가면 좋을지 알아봤습니다.
취재 윤소영 리포터 yoonsy@naeil.com
도움말 김상근 교사(서울 덕원여자고등학교)·배영준 교사(서울 보성고등학교)·이재원 책임입학사정관(동국대학교)
임진택 입학사정관팀장(경희대학교)·한수정 교사(서울 경희고등학교)
댓글 0
댓글쓰기